반응형 전체 글171 [글또] 글을 쓰며 성장한 시간, 글또 10기 회고 📝 글또 10기 시작과 끝을 돌아보며글또 회고록을 작성하기 이전에 처음 내가 작성했던 글또 10기 다짐글을 다시 읽어 보았다. 그 글을 보니 처음 글또를 알게 된 순간과 글또 10기 함께 했던 활동들이 새록새록 떠올랐다. 처음 글또를 알게 된 건 내가 팔로우 하고 있는 개발 블로거 분들 중 포스팅 주기적으로 꾸준히 올리시는 분들이 있다.그분들 모두 글또 활동 포스팅을 올리시길래 도대체 글또가 뭐지?? 하면서 그분들이 올리신 글또 포스팅을 다 읽어보았고그렇게 글또에 대한 관심이 자연스레 생기면서 알게 되었다.하지만 그때가 이미 9기가 진행된 상황이라 10기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10기 모집글이 올라온 순간 너무 좋아서 아직 활동 해보지도 않았으면서 해본거 마냥 회사동료와 다른 개발자 친구들에게도 신청을.. 2025. 3. 30. Notion API 설정 및 database integration 연결 방법 노션을 활용해서 데이터베이스 기능 사용하기next.js 관련 프로젝트를 만들다가 노션을 DB처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고 해서 따로 DB구축하지 않고 만들 수 있는 연결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아래 같은 상황처럼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아주 가볍고 간단한 사이드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DB는 필요할 때나는 백엔드를 개발해 본 경험이 없는 ‘Only 프론트엔드 개발자’가벼운 사이드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DB환경을 구축하기 번거롭고, 그 과정에서 과금이 없었으면 할 때빠르게 프로토타입을 만들어야 할 때 Notion API 설정 및 database integration 연결 방법 1. Notion database 만들기 노션에서 새 페이지 생성해서 /database로 데이터베이스를 만.. 2025. 3. 11. [Typescript] any 타입 대체 방법 처음에 실무 시작하게 되면서 TypeScript를 접했을 때 타입 정의가 어려웠다. 일단 익숙하지 않았던 것도 있었고 그냥 any를 써도 넘어 가길래 애매하다 싶으면 타입을 any로 지정하고 자꾸 쓰게 되었는데... 하지만 any를 마구잡이로 사용하면 생기는 문제1. 타입 체크가 무의미해짐 any를 사용하면 TypeScript의 장점인 자동완성과 타입 체크를 포기하는 셈이다.const fetchData = async (): Promise => { const response = await fetch("https://api.example.com/data"); return await response.json();};const data = await fetchData();console.log(data.tit.. 2025. 3. 2. [error] npm 문제 ❌발생 에러 ✅시도한 해결방법 1.VSCode의 기본 터미널이 powershell로 설정 되어 있었음 터미널의 종류를 바꿔주면 됨Command Prompt으로 바꿔서 해보기! ✅시도한 해결방법 2.npm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node.js를 깔아야함 내 경우는 버전이 안 맞아서 이전 버전 삭제하고 다시 깔았는데 인식을 못해서 안되는거였다.인식되니 에러가 사라졌다 해결완! 2025. 2. 25. 토이 프로젝트 나만의 반려식물 만들기 이전부터 만들어 보고 싶었던!!!! 푸망처럼 나만의 맞춤형 테스트를 만들고 싶었다!예전부터 생각은 했지만 어떤 주제로 할까 계속 고민이 많았다.처음에는 세계문학 책들 중 취향을 찾아서 맞춤형 책들을 추천하는 식으로 하려고 했는데 내가 관련 책들을 많이 안 읽어서 잘 모르기도 하고 데이터 수집해서 기획하기도 번거로워서 계속 미루고만 있었다. (하지만 올해 안에 이 주제로도 꼭 만들어야지) 🌱 이 테스트를 만들게 된 이유그러다 작년부터 함께한 식물 모임에서 기획 아이디어가 떠올랐다.우리 모임은 반려 식물을 키우며 자연과 함께 힐링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데 모임원들이 어떤 식물을 키울지 고민하는 시간이 꽤 길게 걸린다는 걸 느꼈다. 여기서 만들게 보자고 결심하게 된 이유가 총 세 가지가 있는데, 1️⃣ .. 2025. 2. 16. CORS 와 SOP 개념 정리 1. SOP 동일 출처 정책? ▶ SOP(Same-Origin Policy) 웹브라우저의 보안정책으로, 서로 다른 출처의 리소스 간 데이터 접근을 제한한다.동일 출처란?먼저 출처(Origin): 프로토콜 + 도메인 + 포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가지가 동일해야지만 동일 출처이다! ▶ SOP의 역할보안강화 : 동일출처 정책은 위험할 수 있는 문서를 분리함으로써 공격받을 수 있는 경로를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만약 이런 제약이 없다면 CSRF (Cross-Site Request Forgery) 나 XSS(Cross-Site Scripting)등의 공격에 매우 취약해질 가능성이 생긴다.자동 로그인 예시: 브라우저는 로그인시 발급된 토큰이나 쿠키를 저장한다. 동일한 출처에 재접속 시 이 정보가 자동으로 포.. 2025. 2. 2. 이전 1 2 3 4 ··· 2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