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9

[온라인스터디 21주차] 01.15 ~ 01.21 공부 기록 및 후기 21 주차 목표 24.01.15 ~ 24.01.21 1.알고리즘 풀기 2. 공부한 내용 포스팅하기 3. 과제 및 교육 매일 복습 +운동 주 3회 +영어 매일 30분씩 공부 1.알고리즘 풀기 성공! 목표대로 했다 2. 공부한 내용 포스팅하기 회사연수원에서 배운 내용들을 정리하고 있는데 국비학원 때는 정신없이 빠르게 흘러간 느낌이였다면 지금은 제대로 이해하고 천천히 하는 느낌이라 좋다! 3. 과제 및 교육 매일 복습 6시 이후에 안 까먹을려고 매일 복습하는 중 +운동 주 3회 +영어 매일 30분씩 공부 운동은 내 기준 진짜 많이 갔다ㅋㅋㅋㅋ주 5회 찍고 주말에는 약속 때문에 안 감! 영어는 30분씩은 아니지만 틈만 나면 하긴 해서 매일 했다. 2024. 1. 22.
[백준/java] R2 3046번 https://www.acmicpc.net/problem/3046 3046번: R2 두 숫자 R1과 R2가 있을 때, 두 수의 평균 S는 (R1+R2)/2와 같다. 상근이는 정인이 생일 선물로 두 숫자 R1과 R2를 주려고 한다. 생일 파티에서 상근이는 정인이에게 이 두 숫자를 말해주고, 정인이는 www.acmicpc.net 이 문제는 코딩문제가 아니라 그냥 수학문제이지 않을까....... 처음에 괜히 어렵게 생각해서 해야하지 않을까 하다가 잘 몰라서 그냥 쉬운방향으로 했는데 답이 나왔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oj3046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R1+R2 = S*2 //R2 = S*2- R1 Sc.. 2024. 1. 21.
[백준/java] 평균 점수 10039번 https://www.acmicpc.net/problem/10039 10039번: 평균 점수 입력은 총 5줄로 이루어져 있고, 원섭이의 점수, 세희의 점수, 상근이의 점수, 숭이의 점수, 강수의 점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점수는 모두 0점 이상, 100점 이하인 5의 배수이다. 따라서, 평균 점 www.acmicpc.net 이 문제는 Scanner를 써서 풀었는데 40점 미만의 학샐들을 항상 40점을 받게 된다 이 부분을 제대로 안 읽어서 틀렸었다. 그 부분만 주의하면 틀리지 않을 문제이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oj10039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 2024. 1. 21.
[백준/java]빠른 A+B 15552번 https://www.acmicpc.net/problem/15552 15552번: 빠른 A+B 첫 줄에 테스트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T는 최대 1,000,000이다. 다음 T줄에는 각각 두 정수 A와 B가 주어진다. A와 B는 1 이상, 1,000 이하이다. www.acmicpc.net 이 문제는 계속 했던 것처럼 Scanner를 이용해서 했었는데 분명 원하는 답이 나왔는데 시간초과로 실패라고 떴었다 //scanner 이용 하지만 실패...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oj1555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T = sc.nextIn.. 2024. 1. 18.
[database] Schedule Schedule이란? 여러 transaction들이 동시에 실행할 때 각 transaction에 속한 operation들의 실행순서이다. 트랜잭션 내에 operation 순서는 바뀌지 않는다. Serial schedule 한번에 하나의 트랙잭션만 실행되기 때문에 좋은 성능을 낼 수 없고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방식이다. Nonserial schedule 장점은 트랜잭션들이 겹쳐서 실행되기 때문에 동시성이 높아져서 같은 시간동안 더 많은 트랜잭션들을 처리할 수 있다. 단점은 트랜잭션들이 어떤 형태로 겹쳐서 실행되는지에 따라서 이상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Conflict of two operations 세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conflict 서로 다른 트랜잭션 소속 같은 데이터에 접근 최소 하나는.. 2024. 1. 17.
[database] Index 정리 인덱스에 대해 알아보자! 일단 인덱스가 무엇인가? - 인덱스(index)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튜플의 검색 성능을 높이기 위해 속성 값과 튜플이 저장된 주소를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키-값 형태로 '속성 값-튜플 주소'를 인덱스 포인터에 저장한다. - 방대한 정보의 테이블이 있을때 그 많은 데이터를 하나하나 풀스캔할 수 없으니깐 인덱스를 걸어주면 인덱스라는 포인터가 생겨서 각 칼럼의 주소값이 저장이 되어 지정된 칼럼의 인덱스가 주소값을 통해 전체 테이블로 가서 원하는 데이터 연결을 더 빨리 찾을 수 있다. [인덱스(index)의 장점과 단점 ] 장점 테이블을 조회하는 속도와 그에 따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반적인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단점 인덱스를 관리하기 위해 DB의 약 10%에 해당하는.. 2024. 1.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