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을 전~~~혀 모르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몰라서 굉장히 단순한 파일 업로드 방법으로 깃허브 올리던 나....
미니 프로젝트때마저 이용하지 않아서 그렇게 이용방법 모르고 살아왔다.
하지만 최종때는 피할 수 없는 법...!
깃허브 알아야만 했다...! 머지 어떻게 하는지!!! push pull 어떤 식으로 되는건지!!! 브런치 바꾸는 법 등등!!!
vscode에서 쉽게 하는 법 팀원분이 알려주셨는데.... ㅎ
이거 하다가 내 파일 날라감^_^
서툴게 사용하다보니 파일만 날려보냈다 값진 경험이라 생각한다......(정신승리)
그래서 계속 연습하려고 하다가 같은 반 천사같은 수강생분이 깃허브 사용법 다시 알려주셨다.
1. 먼저 로컬폴더를 만들고 레포지터리랑 동기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새 파일을 만들고 그 파일에서 우클릭 - 더많은 옵션표시- Git bash here을 클릭한다.
2.그러면 그 파일의 깃배쉬가 열리는데 레포지토리랑 클론을 해야하니깐
명령어 입력: git clone 레포지토리 주소
3. 이렇게 하면 그 만든 로컬 폴더에 .git 파일이 생성이 된다.
4. 그다음 cd 파일으로 해서 들어간다.
5. 보면 파일이름 뒤 (main)이라고 되어 있는데 브런치 중 main브런치를 쓴다는 것
그런데 작업 다 하다가 나는 main이 아니라 master 혹은 다른 브런치 쓰고 싶다고
checkout 해버리면.... master나 기존 다른 브런치에 업로드 된 내용들이 다 클론되어버리는 끔찍한 불상사가 일어난다.
테스트로 로컬 폴더에만 봐도 checkout을 통해 파일들이 실시간이 뒤바뀌는걸 볼 수 있다.
6. 중요한건 레포지토리에 파일 업로드
로컬git 폴더에 수정사항이 있어 github에 업로드하고 싶으면
▶ git status
-git의 변경사항을 알 수 있음
▶ git add .
-git에 업로드 할 거를 stage에 등록하는 것
▶git commit -m "커밋메시지 아무거나"
-git에 commit 할 부분을 찍는 것
▶git push origin 브랜치 이름
-업로드 하기!
이 과정들을 차례대로 하면 된다!
깃허브가서 레포지토리 확인해서 업로드 된거 보면 됨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merge 전 병합완료 취소하기 (0) | 2024.08.22 |
---|---|
git branch사용법 (0) | 2024.07.05 |
[Git] VScode와 github 연결해제 방법 (2) | 2024.01.16 |
[Git] ! [rejected] main -> main (non-fast-forward) 해결 방법 (0) | 2024.01.14 |
[git] git repository master 삭제 (1) | 2024.01.14 |